주식을 하다보면 증자, 감자를 많이 겪게 됩니다. 핵심을 간단히라도 흐름을 이해해야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법입니다. 먼저 축약된 단어 뜻을 풀어보겠습니다.
증자는 주식을 발행해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입니다. 이 증자가 무상이냐 유상이냐의 방법으로 나뉘게 되는 것이죠. 자본금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자본금이란 액면가 (주식 표면에 적힌 금액) * 주식수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원, 1천주 주식을 발행해서 사업을 시작했다면 최초 자본금은 50만원이 되는 겁니다. 그 이후 회사가 상장해서 여러가지 증자, 전환사채 발행 등으로 주식수가 변하면 자본금도 따라서 변하게 됩니다.
기업의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입니다. 개인도 똑같습니다. 내가 아파트 자산을 소유할 때, 거기엔 내 자본과 은행 빚이 섞여 있죠.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증자는 자본(=자기자본=자본 총계=순자산)의 영역입니다. 자본은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뉩니다. 다른 자본 계정도 있지만 증자 관련해서는 부차적이기에 생략합니다. 다시 잉여금은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으로 나뉩니다.
"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은 말 그대로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에서 사외 유출 (배당 등)을 차감한 적립금입니다. 사업을 제대로 영위했다면 이익잉여금은 지속 쌓여가야 합니다.
자본잉여금은 자산재평가적립금, 주식발행초과금 등으로 나뉩니다. 쉽게 예시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자산재평가적립금은 쉽게 말해 토지를 과거 1억 자산으로 평가했는데, 재평가시 11억이라면 이 차액 10억이 자산재평가적립금으로 기재됩니다. 주식발행초과금은 주식 발행을 통해 발생한 이익에 대한 적립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원인 주식을 10,500원에 1만주 유상증자 발행했다면 액면가와 발행가 차액 1만원과 1만주의 곱, 즉 1억이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500원 * 1만주 자본금도 쌓이게 되는 거지요.
"무상증자, 유상증자 차이"
무상증자는 주식 발행으로 자본금을 늘리는데, 외부 자본 유입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본 총계가 변하지 않습니다. 잉여금에서 자본금으로 쇽-하고 장부상 숫자만 변경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자본금 1억인 회사가 있습니다. 무상증자로 주식을 2배로 만들고 싶다면 자본금을 1억 늘려주면 됩니다. 액면가 고정인 상태에서요. 이때 이 1억을 회사 내부에서 해결 (잉여금에서 전입)하면 무상증자, 외부에서 해결하면 유상증자인 것이죠.
유상증자는 신주 발행을 통해 누군가에게 돈을 받아오는 겁니다. 그래서 자본금과 잉여금이 늘어납니다. 당연히 자본 총계도 늘어나게 되는 것이죠.
유상증자는 실질적으로 돈이 필요해서 하는 것이고 (다양한 목적) 무상증자는 주식수를 늘려 유동성 증대, 회사 주가 부양 의지 등을 나타내는 목적입니다. 흐름만 간단히 알아갔으면해서 글 남겨봤습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초간편 검사 방법 개발, 코로나 진단키트 관련주 타격 있을듯 (1) | 2020.08.15 |
---|---|
테슬라 애플 액면분할 의도와 뜻, 앞으로 주가는? (0) | 2020.08.15 |
전 세계 기업 크기 시가총액 순위 랭킹 한눈에 보기 (0) | 2020.07.14 |
PDR (Price to dream ratio) 새로운 밸류에이션 툴? 실화냐..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