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마케팅 상식 CPA, CPC, CPM, CPV, CPI, CPP, CPS 뜻 의미 간단 설명
오늘은 CPA, CPC, CPM, CPV, CPI, CPP, CPS 개념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은 CP★라는 뜻인데요. CP는 Cost Per의 약자로 ★에 무엇이 오냐에 따른 분류입니다. 광고주뿐만 아니라, 광고를 게시하는. 예를 들면 구글 애드센스나 네이버 애드포스트를 하는 일반인들도 상식으로 알아가면 좋겠죠?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CPA (Cost Per Action) 광고를 클릭한 사용자가 어떤 액션을 할 때 과금되는 구조입니다. 카카오 채널을 등록한다든지, 보험 가입, 상담 신청을 한다든지 이런 액션에 따른 과금 방식입니다. CPC (Cost Per Click) 노출과 상관없습니다. 클릭이 일어날때마다 과금되는 구조입니다. 책정 금액은 매체, 광고 상품, 입찰가에 따라 차이가 있..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