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단리와 복리 개념과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데 사실 간단합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만 주는 것이고 복리는 원금과 이자에 대한 이자를 지속적으로 주는 겁니다.
이해 안되실 수 있으니 바로 실제 사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단리
아래 그림처럼 예금 계산기를 보면 1,000만원 5년 2% 단리 저축시 이자는 100만원이 붙습니다. 계산법은 1,000만원*1.02*5입니다. 년 이자 2%기준 5년이고 원금에만 이자가 붙습니다. 쉽죠?
2. 복리
이번엔 반대로 복리 계산입니다. 복리는 원금과 더불어 이자에도 이자가 계속 붙는 겁니다. 복리는 크게 년 복리, 월복리가 있습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복리 기준 1000만원 * (1+0.02/12)^60로 1,105만원이 나옵니다. 월 복리라 60개월을 곱해준 건데요. 이렇게 제곱승을 해주면 이자에 대한 이자가 붙습니다.
사실 금리 자체가 너무 낮기에 큰 효과는 없습니다. 년 복리의 경우엔 1000만원 * (1.02)^5으로 1,104만원이 나옵니다. 5년이라 5를 제곱한 겁니다. 1만원 정도 차이입니다. 5년 동안 ㅠㅠ
개념 설명은 끝났고 현명한 투자자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예적금 상품은 최대한 복리 조건으로 가입하자입니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이자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예금 적금은 단리입니다.
반대로 대출을 받을 땐 단리 상품으로 가입해야겠죠. 그래야 빌린 돈에 대한 이자가 조금이라도 감소하니까요. 마이너스 통장은 대부분 복리입니다.
현명한 투자자, 소비자가 되시기 바랍니다^^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화학 물적분할 관련 컨퍼런스콜 정리, 불확실성을 해소하다. (0) | 2020.09.20 |
---|---|
교촌 치킨(교촌 에프앤비)이 코스피 주식 상장 준비하네요. 권원강씨 와우!!! (0) | 2020.09.12 |
코로나 초간편 검사 방법 개발, 코로나 진단키트 관련주 타격 있을듯 (1) | 2020.08.15 |
테슬라 애플 액면분할 의도와 뜻, 앞으로 주가는? (0) | 202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