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의 삼성전자 관련 아주 간단한 정보들 공유해볼 겁니다. 삼성전자라서, 이름만 믿고 투자하신 분들 잠깐 짬내서 읽어보시면 도움되리라 믿습니다. 아래 글은 20.6/4일 기준입니다.
첫번째, 삼성전자는 외국인 회사입니다. 외국인 지분이 55% 정도입니다. 이건희 외 14인이 21%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는 국민연금공단이 11%를 갖고 있고요. BLACKROCK 펀드쪽이 5%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배당하면 배당금이 국외로 유출되는 거다! 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를 아시겠죠? 이론적으로 삼성전자의 전체 배당금의 55%가 외국인들에게 돌아가는 거죠.
두번째, 삼성전자가 판매하는 아이템입니다. 삼성전자는 크게 4개 부문으로 사업 영역이 나눠집니다. 떠오르는 것들 있으시죠? 네 가전, 무선사업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이 있으시겠죠. 조금 고급스러운 단어를 사용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CE (Consumer electronics)
2. IM (IT Mobile, Information Technology&Mobile communications)
3. DS (Device Solution)
4. 하만
부문별 주요 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한발 더 나아가 사업부별 매출액/영업이익 실적은 어떨까요? 이걸 알아야 삼성전자에 대한 기업 분석 기초 이해가 가능한 거 겠죠? 2019년 기준입니다. 매출액 230조, 영업이익 27.8조원을 찍었죠.
보시면 IM 사업부가 가장 큰 매출 파이를 차지하고 있고, DS의 반도체가 영업이익 비중이 가장 크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삼성전자 얘기하면서 반도체 반도체 하는 이유가 이것이죠. 2018년도 반도체 싸이클 호황기에는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70% 이상이 반도체에서 나왔습니다. 그 당시 반도체쪽 영업이익률이 50% 이상이었습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59조였는데 반도체쪽에서 44.6조원을 찍은 겁니다. 반도체가 먹여 살렸다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삼성전자가 반도체에 목숨 거는 겁니다. 반도체 초격차로 경쟁자들을 따돌리지 않으면 삼성전자는 장기적으로 성장 동력을 잃어버리는 거니까요. 반도체 산업은 싸이클이 있습니다. 다시 D램 가격이 상승한다면 삼성전자는 한 발짝 더 도약할 기회가 되는 거고, 꼭 그러리라 믿습니다.
이상으로 삼성전자 관련 초보자용 간단 정리 마칩니다 ^^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중공우 한화우 두산우 삼양사우 한화투자증권우 남양유업우 우선주들의 불파티, 현대건설우의 과거가 떠오른다. (0) | 2020.06.17 |
---|---|
현금, 현금성 자산이 시가총액보다 많은 저평가 기업 투자 맞는 걸까? (0) | 2020.06.07 |
배당투자시 시가배당률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거 아닙니다!!! (0) | 2020.06.04 |
주식 PER, PBR을 사용하는 이유, 아주 쉽게 설명해봅니다. (0) | 2020.05.29 |